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fluence of Mo on Micro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2B7-type La-Mg-Ni Hydrogen Storage Electrode Allo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材料工程 = Journal of materials engineering
ISSN 1001-43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Ming,LI, Zi-quan,LIU, Jing-song,PENG, Jie,XIE, Li-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X선 회절기술(X-ray diffraction, XRD), 배터리 제어 측정기(battery stored program control tester)와 전기 화학적 워크스테이션(electrochemical workstation) 등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여 소량의 Mo로 Ni를 대체하였을 때 La 0.75 -Mg 0.25 Ni 3.5-x Mo x (x=0~0.5, 원자 분율/%, 아래와 같음) 수소저장합금(hydrogen storage alloy)의 위상구조(phase structure) 및 전기 화학적 성능electrochemical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La 0.75 -Mg 0.25 Ni 3.5-x Mo x 합금은 다상구조(Multi phase structure)를 갖고 있었는데, 주요 위상이 Gd 2 Ni 7 형 구조의 La 2 Ni 7 와 CaCu 5 형 구조의 LaNi 5 로 구성되었다. 합금의 활성화 성능이 양호했으며 4차례의 충전과 방전 과정을 통하여 기본적으로 반응상태에 도달할 수 있었다. Mo 첨가량이 0.3%에 도달했을 때 합금에 MoNi 4 이 나타났으며, La 2 Ni 7 와 LaN i5 의 격자 모수(lattice parameters)도 따라서 증가하였다; 합금의 고율 방전(high rate discharge, HRD) 성능이 뚜렷하게 향상하였으며 HRD I=900mA/g 이 82.58%(x=0)에서 86.72%(x=0.5)로 증가하였다; 순환 안정 성능(S 100 )도 크게 개선되었으며, 증가후 감소의 변화 추세를 보였다. x=0.3일 때 순환 안정 성능이 가장 양호했으며 S 100 이 76.61%에 달했다. 그러나 합금의 최대 방전 비용량(C max )은 점차 감소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3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ydrogen storage alloy,Mo substitution,phase structure,electrochemical performance,수소저장합금,Mo 대체,위상구조,전기 화학적 성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