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두류품종의 먹이조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 수명 및 산란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1225-017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배순도,김현주,박정규,정진교,조현제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두류품종의 먹이조합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약충기간은 20-28일로 장유콩(새알콩), 장유콩 #65291;강낭콩 및 장유콩 #65291;땅콩의 조합에서 가장 많았으며, 강낭콩에서 가장 길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2.4-2.5일, 2령에서 4.0-5.1일, 3령에서 4.2-6.0일, 4령에서 4.4-6.9일 그리고 5령에서 5.3-7.3일로 영기가 증가할수록 길어졌으며, 1령을 제외한 타령기에서 발육기간은 먹이조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화율은 3.5-65%로 먹이조합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장유콩 #65291;땅콩에서 65%로 가장 높았으며, 강낭콩에서 3.5%로 가장 낮았다. 약충사망율은 먹이조합에 관계없이 1령에서 가장 높았다. 성충수명은 5.5-11.2일로 장유콩 #65291;땅콩에서 가장 길었으며, 강낭콩 #65291;땅콩에서 가장 짧았고, 장유콩, 강낭콩, 땅콩 및 장유콩 #65291;강낭콩에서 8.0-8.4일로 먹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산란수는 1.0-20.0개로 전체적으로 산란수가 매우 낮았으나, 장유콩 #65291;땅콩 #65310;장유콩 #65310;딴콩 #65310;장유콩 #65291;강낭콩 #65310;강방콩 #65310;강낭콩 #65291;땅콩의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두류품종의 종자를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사육은 장유콩 #65291;땅콩 조합에서 가장 좋았으며, 다음은 장유콩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4119223662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두류,발육,수명,산란,Riptorrus clavatus,Leguminous seed,Development,Adult longevity,Ovi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