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and pathogenicity tests of a mutated specific fragment SCF73 in Verticillium dahlia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
ISSN | 0001-6209, |
ISBN |
저자(한글) | Wang, Jinlong,Chen, Jieyin,Liu, Shaoyan,Li, Lei,Dai, Xiaof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목적: 독성이 강한(high-virulent) 균주 VDG1의 특정 부위(specific fragment)인 SCF73이 버티실리움(Verticillium dahliae) 발병력(virulence)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기법: 유전체학과의 비교 분석과 PCR 검증을 거쳐 버티실리움 high-virulent 균주 VDG1이 low-virulent 균주 VDG2의 특정 부위 SCF73에 대응된다는 것을 확정한다. 또 SCF73 부위의 녹아웃 플래스미스를 구축하였으며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 AGL-1을 도입하여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중개된 전환기술(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technique)을 이용한 VDG1전환을 실현했을 뿐만아니라 저항 선별 및 PCR 증폭으로 SCF73 녹아웃 전환인자를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거쳐 펙틴, 셀룰로오스와 녹말 배양기로 Delta;SCF73의 세포벽 구성 요소 분해 능력을 분석하였으며 정량적 침근(dipping) 접종법으로 susceptible cotton의 하나인 Gossypium hirsutum cv.Junmian1에 대한 발병력을 검증하였다. 결과: VDG1의 특정 부위 SCF73은 길이가27.1kb, 예측한 코딩 유전자 5개를 갖고 있으며 그 중 2개 유전자는 하이도롤레이스(hydrolase) 기능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정하였다. 또 선별을 거쳐 3개의 Delta;SCF73 돌연변이주를 얻었으며 세포벽 구성 요소를 이용한 돌연변이주와 야생 균주 VDG1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Gossypium hirsutum cv.Junmian1에 대한 돌연변이주의 발병력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high-virulent 균주 VDG1의 특정 부위 SCF73은 버티실리움 발병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37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Verticillium dahliae,specific fragment,gene knock-out,virulence,버티실리움속,특정 조각,유전자 녹아웃,발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