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대기 CO 2 농도의 증가가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보도한바 있으나, 온도와 CO 2 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아래와 같은 4가지 조건에서 연속 통기 배양법(aerated culture)을 이용하여 Porphyra haitanensis를 배양하였다. (1)15℃+390 mu;mol/mol CO 2 , (2)15℃+700 mu;mol/mol CO 2 , (3)25℃+390 mu;mol/mol CO 2 , (4)25℃+700 mu;mol/mol CO 2 . 이로부터 중국 남부 해역에서 양식하고 있는 해조류의 생장과 엽록소 형광 특성이 온도와 CO 2 에 대한 반응을 토의하였다. 연구 결과, CO 2 가 Porphyra haitanensis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 의존성을 갖고 있으며, 저온 생장 조건에서 CO 2 농도의 증가는 Porphyra haitanensis의 생장에 유리하였다. CO 2 가 Porphyra haitanensis 엽록소a(Chlorophyll a, Chl a)과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Car)에 대한 추진 작용은 온도의 영향에 비해 컸다. 생장 온도가 25℃인 조건에 비해, 생장 온도가 15℃인 조건에서 Porphyra haitanensis의 최대 상대 전자 전달속도(maximum electronic transport rate, rETR max )는 비교적 높았는데, 이는 저온 환경에서 Porphyra haitanensis는 비교적 높은 광합성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CO 2 는 Porphyra haitanensis의 rETR max 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광합성 형광 특성을 측정한 결과, 10-30℃의 온도 범위 내 각 생장 조건에서 해조류 rETR max , 광에너지 이용 효율(light use efficiency, alpha;)과 최대 광화학적 양자 수율(maximum photochemical quantum yield values, F v /F m )은 오도의 증가와 더불어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온도가 비교적 높을 때( ge;30℃), 상술한 형광 특성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고온 조건은 해조류의 광에너지 효율과 광합성 능력의 감소를 초래하였는데, 이는 광계 (PS)Ⅱ 반응 중심 활성의 감소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동시에, 온도가 30℃보다 높을 때, 생장 온도가 15℃인 조건에서 Porphyra haitanensis의 rETR max , alpha;와 F v /F m 값의 감소 추세는 생장 온도가 25℃인 조건에 비해 컸는데, 이는 저온 생장 조건에서 단기간의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Porphyra haitanensis의 적응 능력은 비교적 낮다는 것을 설명한다. 고농도 CO 2 생장 조건에서 Porphyra haitanensis의 rETR max 는 정상적인 농도의 CO 2 생장 조건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단기간 고온 조건에서 CO 2 농도의 증가는 Porphyra haitanensis의 광합성 전자 전달 능력을 억제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