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ic Gases and Inorganic Fine Aerosols Observed in Seoul, Kor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氣象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ISSN 1225-089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ee-Jin In,Soon-Ung Park,Bon-Yang K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휘발성 산성 가스물질과 에어로솔 사이의 열역학적 평형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관측노장에서 1999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1년 동안 ADS(Annular Denuder System)를 이용하여 일일(오전10시부터 익일오전10시까지 24시간) 단위로 공기 샘플링을 하였다. 가스와 에어로솔이 각각 차지하는 질량을 분석하기 위해가스-입자상 평형모델인 SCAPE 모델을 이용하였다. 가스상 물질인 SO₂, HNO₃, HCl, NH₃의 연평균 농도는 각각 6.67 ㎍m #x207B;³, 1.43 ㎍m #x207B;³, 1.30 ㎍m #x207B;³, 1.50 ㎍m #x207B;³ 이었고 에어로솔상 물질인 SO₄² #x207B;, NO₃ #x207B;, Cl #x207B;, NH₄ #x207A;의 연평균 농도는 각각 4.80 ㎍m #x207B;³, 4.66 ㎍m #x207B;³, 0.79 ㎍m #x207B;³, 2.84 ㎍m #x207B;³ 이었다. SO₂의 농도는 겨울에 최고치를, 여름에 최저치를 나타냈으며 NH₃와 HNO₃의 농도는 여름에 최고치를, 그리고 겨울에 최저치를 나타내는 뚜렷한 계절적변화 양상을 보였다. 반면에 SO₄² #x207B;와 NO₃ #x207B;의 농도는 별다른 계절적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휘발성 가스상 물질인 NH₃, HNO₃, HCl의 농도는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에어로솔 물질의 농도는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관측된 NH₄ #x207A;, NO₃ #x207B;, Cl #x207B;의 농도는 평형모델로 계산한 농도와 그 상관계수가 각각 0.98, 0.93, 0.75로 아주 잘 일치하였다. SO₄² #x207B;와 NO₃ #x207B;의 농도는 액상상태로 NH₄ #x207A;와 거의 평형을 이루고 있었으나, 겨울철에는 고체상으로도 존재하였다. 에어로솔의 농도와 에어로솔에 포함된 수분 함량의 총합은 가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492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as-aerosol equilibrium model,seasonal variation,aqueous phase,solid phase,aerosol water content,annular denuder system(ADS),가스-입자 평형모델,계절적 변화 양상,액상,고체상,에어로솔 수분 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