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침수식물(submerged plant)을 이용하여 물 생태계를 복원하는 기법이 현재 연구의 주요 이슈로 부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난징 쉬안우호(Xuanwu Lake of Nanjing)에 서식하는 말즘(Potamogeton crispus) 개체군의 발생 원인과 인력 수확이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쉬안우호 지역의 투명도,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pH, TN(total nitrogen), TP(total phosphorus) 등 수질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조류 수화(cyanobacterial bloom) 현상에 대한 긴급 방제 조치로 인하여 물 투명도는 179.5% 향상하였으며, 용존산소 함량은 24.1% 증가하고, TN와 TP는 각각 54.1%, 74.5% 감소하였으며, pH는 9.1에서 8.7로 감소하였다. 수질 개선은 말즘 개체군의 발생 및 대규모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었다. 단기간 내 말즘에 대하여 대규모 수확을 진행한 결과, 물 중 용존산소 함량은 42.1% 감소하였으며, 투명도는 51.5% 감소하였다(P 0.05), 수확 후 TP는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호수 복원과정에서, 물리적 혹은 화학적 방법으로 물 투명도를 개선하고 pH를 조절하며 영양염을 감소하여, 수생식물의 발생 및 유묘 성장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후기 생태 관리과정에서, 식물주를 인공 수확하여 물 중 영양염을 제거하고 수질을 개선하며, 수생 생태계를 복원 및 재구축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