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two years' incorporation of leguminous green manure on soil properties of a wheat field in dryland condi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Dabin,YAO, Pengwei,LI, Jing,ZHAO, Na,WANG, Zheng,YU, Changwei,CAO, Qunhu,CAO, Weidong,GAO, Ya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토양의 질 향상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2년 동안의 포장 실험(field experiment)을 통하여 콩과(Leguminosae) 녹비작물(Huai bean, 콩과 녹두) 재배와 밀 생장계절의 질소 시용량(0, 108, 135, 162 kg/hm2)이 여름철 휴경기 웨이베이 건조고원(Weibei Dry Plateau) 지역의 토양 비옥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콩과 녹비작물은 토양 유기질, 활성 유기질과 총 질소 함량을 뚜렷하게 향상시키고, 토양 탄소풀 관리 지수(carbon pool management index, CPMI)를 증가시켰으나 토양 유효 칼륨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녹두의 환전량(작물을 논밭에 썩혀서 거름이 되게 하다)은 Huai bean과 콩에 비해 높았으나, 토양 비옥도에 대한 효과는 Huai bean과 콩에 비해 낮았다. (3) 여름철 휴경기의 녹비작물 재배로 인하여 토양 수분이 소모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녹비작물로 토양을 갈아엎기 전과 밀 파종 전부터 수확 후의 0-200cm 토양층 내 수분 저장량은 휴경 처리를 한 토양보다 낮았으나, 수분 소모량은 휴경 처리를 한 토양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밀 생산량의 증가로 인하여 콩과 녹비작물은 수분 생산 효율을 뚜렷하게 향상시켰다. (4) 질소를 시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밀 생장계절에 질소를 시용한 그룹은 수분 생산 효율을 뚜렷하게 증가시켰으나, 토양 비옥도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름철 휴경기에 콩과 녹비작물을 재배하거나 녹비작물로 토양을 갈아엎는 방식으로 토양 비옥도와 수분 생산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3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ryland,leguminous green manure,soil fertility of wheat field,밭,콩과 녹비,밀밭 토양 비옥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