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원예산물 수확 후 품질관리기술 개선방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ISSN 1226-87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아까시흰구멍버섯(Perenniporia fraxinea)은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 사사프라스(sassafrases tzumu), 백양나무, 버드나무 등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 생장하며, 백색부후를 형성하며, 항종양 효능을 갖고 있다. 해당 균류는 산둥성(Shandong Province)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산둥성에서 수집한 자실체(fruiting body)에 대하여 조직 분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균주를 실험 재료로 하여, 그 생물학적 특성과 순화 재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최적의 균사 생장 조건과 자실체 재배 조건을 얻었다.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 먼저 온도, pH값, 탄소원, 질소원 등 4개 요소에 대하여 단일 요소 실험을 진행하였다. 15, 20, 25, 30, 35℃ 등 5개 온도 경사도와 4, 5, 6, 7, 8 등 5개 pH값 경사도를 선택하고, 글루코오스(glucose), 자당(sucrose), 말토오스(maltose), 아밀로젠(amylogen), 락토오스(lactose), 과당(fructose) 등 6가지 탄소원과 효모 추출물, 펩톤(peptone), 유산 암모늄(ammonia sulfate), 쇠고기 추출물, 콩가루, 아질산 나트륨(sodium nitrite) 등 6가지 질소원을 선택하여, 단일 요소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접시에서의 균사의 일평균 생장 속도와 생장 추세를 종합 비교하여, 4개 요소에서 최적의 조건을 각각 3개 선택하였다. 즉 20℃, 25℃, 30℃ 등 3개 온도와 5, 6, 7 등 3개 pH값을 선택하였으며, 말토오스, 아밀로젠, 과당 등 3가지 탄소원과 효모 추출물, 펩톤, 쇠고기 추출물 등 3가지 질소원을 선택하였다. 다음 4개 요소의 3개 조건을 이용한 직교 실험(orthogonal test)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4개 요소가 아까시흰구멍버섯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 gt;pH값 gt;탄소원 gt;질소원 순이었다. 각 요소 사이에는 아주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균사 생장에 가장 적합한 재배 조건을 얻었다. 온도가 30℃이고 pH값이 6이며, 탄소원이 말토오스이고 질소원이 효모 추출물일 때 균사 생장에 가장 적합하였다. 자실체 재배 실험 중 순화 재배 과정을 균사 전배양(pre-culture spawn), 재배용 주머니 제작(manufacturing cultural bags), 균사 배양(spawn running), 원기 유도(inducement to primordium), 자실체 관리(fruiting period management), 수확 등 6개 절차로 나뉘었다. 액체 균종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000 mL의 배양기는 글루코오스 20 g, 펩톤 6 g, 효모 추출물 5 g, MgSO 4 1 g, KH 2 PO 4 2 g로 구성되었다. 온도가 25℃이고 회전 속도(rotation speed)가 150 r/min인 조건에서 6일간 배양하였다. 면실 껍질(cottonseed hull), 겨(bran), 석회를 주요 원료로 하고, 면실 껍질 79%, 겨 20%, 석회가루 1%를 배합하여 자실체 재배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주머니에 5 mL씩 접종하였다. 깨끗한 환경에서 균사를 배양하여, 잡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최적의 아까시흰구멍버섯 균사 배양 온도는 30℃였으며, 환기와 차광 조건도 필요로 하였다. 자실체 재배 시 14-16℃의 저온 자극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자실체의 생장 온도는 21-27℃였으며, 공기 습도는 80-90%였다. 일정한 산란광을 필요로 하였다. 유백색 자실체가 형성되고 자실체가 더는 생장하지 않을 때 수확하였다. 해당 자실체의 형태는 야생 버섯의 형태와 같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124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