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자연계로 부터 분리한 균주 중 4-chlorobiphenyl(4CB) 분해균주로 DJ-12, DJ-26, DJ-77, MS-1003 그리고 FP-6을 사용하여 4CB를 단일 탄소원으로 첨가한 최소배지에서 그들의 생장율과 4CB의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DJ-12와 DJ-26 균주는 4CB를 분해할 때 236과 280 nm의 파장에서 각각 흡광하는 중간 대사산물들이 검정되는 것으로 보아 이 균주들은 meta-cleavage pathway에 의하여 4CB를 분해하여 meta-cleavage compound를 거쳐 4-chlorobenzoic acid(4CBA)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DJ-12 균주가 단일 탄소원으로 4CB를 공급할 때 meta-cleavage pathway를 거쳐 retention time이 2.6~2.8 분대에서 검출되는 4CBA를 생성하는 것이 HPLC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DJ-12 균주와 P. putida KT2440을 in vivo cloning하여 얻은 transconjugant들로 부터 plasmid의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 DJ-12 균주에서 4CB 분해유전자가 약 65 kb 정도의 pDJ121 plasmid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