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f the process and impacts of Deyeuxia angustifolia Invasion on the Alpine Tundra,Changbai Mount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ONG, Sheng-wei,XU, Jia-wei,WU, Zheng-fang,QIAO, Lin-lin,WANG, Dan-dan,MENG, Xiang-jun,DU, Hai-bo,WANG, Lei,WANG, Dan,WANG, Peng,AO, Xiao-long,XIA, Yu-lin,WU, Fu-m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창바이산 서쪽비탈 사스레나무수대 초본식물(백산새풀을 대표로)이 툰드라 지대에 침입하여 독특한 식물 침입 현상을 형성하였다. 본 논문은 분광 및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GPS(Global Positional System) 위치 추적 기술을 결합하고 백산새풀과 우피두견의 분광 차이 및 그 인버전(inversion)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식생 지수에 근거하여 백산새풀이 툰드라 지대에 침입하는 과정을 해석하였다. 서로 다른 침입시간, 강도의 패치(patch)에 대한 군락조사 및 토양테스트를 통해 백산새풀이 툰드라 지대에 침입한 생태적 결과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백산새풀이 툰드라 지대 침입은 20세기 80년대 후기부터 시작되었고 낮은 해발부터 높은 해발로 추진하였으며 21세기 후에는 점차 백산새풀을 우점종으로 하는 안정한 식물 군락구조가 형성되었다. 현재, 해발이 낮은 지역의 백산새풀 패치는 다년간 확장을 거쳐 완전한 덩어리로 이어졌지만, 해발이 높은 지역에는 확장 초기 단계에 처해 있다. 생물 다양성 변화로 보면, 백산새풀의 툰드라 지대 침입은 식물 군락 다양성 증가, 종 수의 증가, 툰드라 지대 기존의 관목 수 뚜렷이 감소, 초본식물의 점진적 증가 등을 초래한다. 식생의 변화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C/N 비율 하강, 토양 부식질 함량과 총질소 함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효용 질소와 토양 수분 보유 능력은 향상하였으며 토양 자양분의 효율적인 이용은 또 백산새풀의 침입을 진일보 촉진하였다. 백산새풀의 침입은 이미 심각한 생태적 결과를 초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1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eyeuxia angustifolia,plant invasion,alpine tundra,Changbai Mountain,백산새풀,식물 침입,고산 툰드라 지대,창바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