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Using 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scopy for the Evaluation and Regional Analysis of Pea( Pisum sativum 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遺傳資源學報 = Journal of plant genetic resources
ISSN 1672-181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Jiao-jiao,LIU, Hao,REN, Gui-x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퓨리에 변환 근적외선 분광분석(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scopy, FT-NIRS) 기술로 완두(Pisum sativum L.)의 단백질, 전분, 지방 및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 측정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화학 방법으로 190건 완두 유전자원의 단백질, 전분, 지방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고, 또한 완두콩 및 완두콩 분말의 근적외선 스펙트럼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부분최소자승법(partial least squares, PLS)으로 2가지 스펙트럼과 성분 함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완두콩 분말 모델은 완두콩 모델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그 가운데서 단백질과 전분 분말 모델의 잔류 예측 편차(residual predictive deviation, RPD)는 각각 5.88, 5.82이고, 상관 계수 r 2 은 0.99, 0.99에 도달하였으며, 아주 우수한 예측 성능이 있었다. 산지 정보가 상세하고 명확한 150건 완두 유전자원의 품질 형질과 산지에 대하여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3가지 확정된 유형을 얻었다. 해당 유형의 특성은 유형 1 고단백질 함량; 유형 2 고 총 폴리페놀 함량; 유형 3 고단백질, 고전분, 고지방 함량이었다. 완두 품질 형질의 파종 시기(seeding date), 경도(longitude), 위도(latitude), 해발고(altitude)에 따른 변화 현황을 한층 더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적외선 스펙트럼 기술로 완두 유전자원의 일부분 품질 형질을 신속하게 선별 및 감정할 수 있었으며,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리적 좌표(geographic coordinate)와 파종 시기가 완두의 주요 유전자원에 미치는 영향 규칙은 모두 고품질 형질 완두 유전자원 수집에 신뢰성이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2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isum sativum L.,germplasm resource,quality traits,FT-NIRS,cluster analysis,geographic coordinate,완두,유전자원,품질 형질,푸리에 변환 근적외선 스펙트럼,클러스터 분석,지리적 좌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