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Wen-long,ZENG, Cong-sheng,GAO, Deng-zhou,HU, Wei-fang,CHEN, Xiao-yan,LIN, Wei |
초록 |
엽록소 함량은 식생의 스트레스 상태을 표징하는 하나의 중요한 지시인자이며 또한, 기타 생화학적 매개변수를 추산하는 중요한 기반이기도 하다. 엽록소 함량에 대한 원격감지 추정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민장강 하구(Min River Estuary)의 Kandelia candel을 연구대상으로 2013년 4월과 7월에 각각 잎을 채집하여 실내에서 잎 정면과 뒷면의 반사 분광을 측정하고 동시에, 엽록소 함량(단위면적 함량과 단위질량 함량)을 측정하였다. 31개의 상용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민감성 분석을 진행하고 엽록소와 상관계수가 비교적 큰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추산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K. candel 잎의 뒷면 반사율은 정면보다 높았다. 특히, 녹색광 밴드의 일부 구역(1,450~2,450nm)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선택한 대부분 매개변수에 있어서, 단위면적 엽록소 함량과의 상관계수는 단위질량 엽록소 함량과의 상관계수보다 컸다. 정면 분광에 기반하여 계산한 분광 매개변수와 엽록소 함량의 상관계수는 뒷면 분광에 기반하여 계산한 분광 매개변수보다 컸다. 추산과 검증 모델의 결과는 TCARI, Vog1, Vog2 및 Vog3이 서로 다른 성장기의 K. candel 잎의 엽록소 함량을 잘 추산할 수 있다는 것을 심층 설명하였다. 그리고, GM, Carter2 및 PSSRb를 이용하여 잎의 엽록소 함량을 추산할 때, 뒷면 분광 응용을 적당히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분광 원격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K. candel 잎의 엽록소 함량을 추산하는 것은 실행 가능성이 있으며, 비교적 높은 추산 정확도를 가진다는 것도 알려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