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on of D-mannitol by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WANG, Xiao-fang,CHEN, Jing,LIU, Ping-ping,XU, Hong-tao,YU, Peng,ZHANG, Xue-l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D-마니톨(D-Mannitol)은 식품, 제약, 화학 제품 공업 등 영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야생형에서 출발하여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의 ATCC 12291균주에서 얻은 MDH(mannitol dehydrogenase)와 과당 수송단백질의 인코딩 유전자를 대장균 ATCC8739의 염색체 내에 정합하였으며 기타 발효 경로를 불활성화시키고 유전적 안정성을 가진 D-마니톨 생산 균주를 구축하였다. 무기염 배양기와 포도당 과당을 혼합 탄소원으로 6일간의 혐기성 발효를 진행하였으며 D-마니톨 생산량은 1.2 mmol/L이다. 세포 생장과 D-마니톨 합성의 연결에 기초하여 대사진화 기술로 세포 합성 D-마니톨의 생산능력을 제고하였다. 80세대에 걸쳐 순수화한 후 D-마니톨의 산량은 2.6배로 제고되고 MDH의 활성을 2.8배 제고시켰다. 유전적 안정성을 가진 공학균은 당을 직접 발효하여 D-마니톨을 생산할 수 있고 항생소, 유도제, 포름산(formic acid)을 첨가할 필요가 없으며 공업화 생산 과정에 일정한 우위성을 갖고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63702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D-mannitol,metabolic evolution,mannitol dehydrogenase,Escherichia coli,D-마니톨,대사진화,MDH,대장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