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새만금 지역의 바다생태계와 어로작업의 상관관계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에코 = ECO
ISSN 1598-30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함한희,정명훈,이동창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nbsp; nbsp;이 논문에서는 새만금 간척개발사업의 결과 발생한 생태계의 변화가 어민들의 어업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주목해서 바다생태계와 인간문화의 상호작용성에 대해서 분석했다. 특히 새만금지역 어민들의 어로작업이 장기간에 걸쳐서 변화를 해왔으며, 바다생태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중시했다. 시기별 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새만금사업이 시행되기 이전 시기와 공사가 진행 중이던 시기 그리고 방조제완공 후로 나누어서 첫째 새만금지역의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하여 비교ㆍ검토했다. 둘째, 어로작업도 세 시기별 특징을 살핀 결과 과거의 어로는 자연과 공동체가 상호작용해서 만들어 낸 전통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했다면, 현재에는 극도의 위기 속에서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개별적이고 경쟁적인 어로작업으로 변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세 번째로는 바다공간에서 일어난 물리적 변화와 어족자원, 문화영역에서 일어난 어로기술력과 어민들의 인식변화의 상호관계성에 주목했다. 새만금사업 이전에는 바다와 어족이 공유재로 인식되었고 그것에 대한 소유권도 개방성을 띠었다. 그러나 새만금사업 이후가 되면서 바다는 크게 축소되고 또 오염도 심각해졌다. 해수유통이 원활해지지 않자, 바다자원은 물론이고 어민들의 기술, 의식 등에서도 심각한 변화가 초래되었다. 한정된 자원을 둘러싼 경쟁구조가 나타나고 어로작업의 도덕성이나 윤리의식이 크게 손상되었다. 바다와 인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관계망은 생태계 균형이 깨질 때 일방적인 관계로 변해갔다. 부정적인 양태의 어업을 중지하지 못하고 있는 새만금지역의 어민들을 통해서 생계양식의 포기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성찰을 제의했다. 나아가서 개발사업과 관련한 정책적 차원의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24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새만금간척개발사업,바다생태계의 변화,어로작업의 변화,전통지식,상호작용성,공유재산,폐쇄성,개방성,해수유통문제,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changes in fishery,changes of marine ecology,traditional knowledge,interconnectivity,public property,circulation of sea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