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Zhong-xin,ZHANG, Xiumei,ZHANG, Lei,TONG, Fei,LIU, Hong-jun |
초록 |
2009년 룽청 리다오(Rongcheng Lidao) 인공 어초 지역에서 진행한 연간 생물 자원 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리다오 인공 어초 지역 생태 시스템 Ecopath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리다오 인공 어초 지역 생태 시스템의 에너지 흐름 규칙과 시스템 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해당 모델은 19개의 기능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리다오 인공 어초 지역 생태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흐름의 주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어초 지역 조사로부터 발견한 어류와 암초의 대응 위치 관계로 기능 그룹을 나누고 플랑크톤 종속 영양 박테리아(planktonic heterotrophic bacteria) 기능 그룹도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 어초 지역 조사를 통해 발견 한 어류는 7개 기능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시스템 내 여러 기능 그룹의 영양 단계은 1.00~3.72급 사이에 있다 그 중 어초 지역 I형 어류의 영양 등급이 최고이다. 전체 시스템 유량은 10786.68t·km -2 ·a -1 이며 그 중 27%는 암설(detritus)로 흐르고 17%는 어획과 침전물의 형태로 생태계에 유출된다. 전체 시스템의 일차 생산력은 4131.97 t·km -2 ·a -1 이며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은 10.5%이다. 암석에서 유래된 전체 유량의 비율은 39%이며 61%는 직접 일차 생산력에서 기인한다. 에너지 흐름 통로는 먹이사슬 흐름을 위주로 한다. 전체 시스템에서의 일차 생산력/호흡량은 1.84이며 시스템 연결 지수는 0.20, 순환 지수는 4.5%, 에너지 평균 경로는 2.62이다. 리다오 인공 어초 지역 생태 시스템의 현재 성숙도와 안정성은 아직 낮은 편으로 발육 단계에 처해 있고, 외부의 간섭에 저항하는 능력이 약하다. 인공 어초 지역의 생태 환경과 어업 생산은 매년 변화가 일어날 것이며 생태 환경에 대한 인공 어초의 복원은 지속적으로 관리하여야만 실현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