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가시오갈피의 생리·생태적 특성(I) -산지별 순광합성, 기공증산, 기공전도도-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Journal of forest science
ISSN 2287-2396,2287-240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한상섭,권정중,이갑연,허성두,김하선,김종원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3-01-01
초록 이 연구는 가시오갈피 엽의 생리적 특성을 밝히고자 광합성, 기공증산, 기공전도도의 생리반응을 측정한 것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보상점은 양엽이 약 $30{ mu}molm^{-2}S^{-1}$ , 음엽이 약 $15{ mu}molm^{-2}S^{-1}$ 이었다. 2. 광포화점은 양엽이 약 $1,000{ mu}molm^{-2}S^{-1}$ , 음엽이 약 $300{ mu}molm^{-2}S^{-1}$ 이었다. 3. 우리나라 및 중국산 가시오갈피 상엽의 순광합성속도는 약 $8.0-8.8{ mu}molm^{-2}S^{-1}$ 로 산지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제주산 섬가시오갈피 상엽은 약 $6.9{ mu}molm^{-2}S^{-1}$ 로 다소 낮았다. 4. 모든 산지에서 중위엽의 순광합성속도는 상엽의 40-65%, 하위엽은 상엽의 30% 정도이었다. 그러나 섬가시오갈피 하엽은 상엽의 약 71%로 다소 높았다. 5. 상엽의 기공증산속도는 $1.1-1.4mmolH_2Om^{-2}S^{-1}$ , 중위엽은 $0.7-1.0mmolH_2Om^{-2}S^{-1}$ , 하위엽은 $0.5-0.6mmolH_2Om^{-2}S^{-1}$ 로 산지별로 유의차가 없었다. 6. 기공전도도는 상엽이 약 $70-90mmolH_2Om^{-2}S^{-1}$ 로 산지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주 섬가시오갈피 상엽은 약 $380mmolH_2Om^{-2}S^{-1}$ 로 타산지보다 현저히 높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3205677147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