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이 연구는 가시오갈피 엽의 생리적 특성을 밝히고자 광합성, 기공증산, 기공전도도의 생리반응을 측정한 것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보상점은 양엽이 약 $30{ mu}molm^{-2}S^{-1}$ , 음엽이 약 $15{ mu}molm^{-2}S^{-1}$ 이었다. 2. 광포화점은 양엽이 약 $1,000{ mu}molm^{-2}S^{-1}$ , 음엽이 약 $300{ mu}molm^{-2}S^{-1}$ 이었다. 3. 우리나라 및 중국산 가시오갈피 상엽의 순광합성속도는 약 $8.0-8.8{ mu}molm^{-2}S^{-1}$ 로 산지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제주산 섬가시오갈피 상엽은 약 $6.9{ mu}molm^{-2}S^{-1}$ 로 다소 낮았다. 4. 모든 산지에서 중위엽의 순광합성속도는 상엽의 40-65%, 하위엽은 상엽의 30% 정도이었다. 그러나 섬가시오갈피 하엽은 상엽의 약 71%로 다소 높았다. 5. 상엽의 기공증산속도는 $1.1-1.4mmolH_2Om^{-2}S^{-1}$ , 중위엽은 $0.7-1.0mmolH_2Om^{-2}S^{-1}$ , 하위엽은 $0.5-0.6mmolH_2Om^{-2}S^{-1}$ 로 산지별로 유의차가 없었다. 6. 기공전도도는 상엽이 약 $70-90mmolH_2Om^{-2}S^{-1}$ 로 산지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주 섬가시오갈피 상엽은 약 $380mmolH_2Om^{-2}S^{-1}$ 로 타산지보다 현저히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