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좌심실비대 진단에서 심장초음파와 심전도검사의 정확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ISSN 1598-48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양성희,이진수,김창수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좌심실비대는 심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발함으로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선별진단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초음파상 좌심실비대로 판단된 30~80대의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심전도검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좌심실질량지수와 Sokolow-Lyon 공식에 의해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두 검사 방법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ROC 분석을 이용하였다. 좌심실비대의 위험 요인인 나이와 체질량지수,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이 좌심실 비대 진단 검사의 기준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심장초음파로 진단된 50명의 환자에서 심전도검사에서는 21명만이 진단되었다. 분석결과로 심장초음파에서는 AUC 99%, 민감도 96%, 특이도 95%, 정확도 95.5%였으며, 심전도검사에서 AUC 76%, 민감도 62%, 특이도 76%, 정확도 68% 인 것으로 나타났다. 좌심실비대 진단에 있어 심장초음파와 심전도검사의 정확도를 비교했을 때 심장초음파가 정확성 높은 검사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차 선별검사로 심전도검사에서 정상 판정을 받더라도, 나이와, 체질량지수,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에 대한 수치를 고려하여 심장초음파 검사를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084509422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좌심실비대,심전도검사,심장초음파,Left Ventricular Hypertrophy,Electrocardiogram,Echocard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