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알쯔하이머 질환의 신경신호전달계 이상소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물치료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ISSN 1225-94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영훈,이상경,김성수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7-01-01
초록 노화는 여러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동시 진행적인 혹은 종속적인 일련의 생화학적 과정에 의해 진행된다는 근거가 있다. 뇌의 노화는 많은 신경전달계의 변화를 유발한다. 특히 콜린계 장애가 가장 현저하다. Meynert's basal nucleus의 신경세포가 소실되고, choline acetyl transferase의 활성도가 감소한다. 도파민계, 세로토닌계,GABA계 등 대부분의 신경전달계의 저하가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노화에의 원인적 기여에 대한 역할은 확실치 않다. 신경?타이드계는 일부 저하되고 일부는 증가하나, 이들의 변화는 전형적 신경전달계의 변화에 비해 미미하다고 생각된다. 그 외 G 단백질의 기능 장애 및 세포내 유리 칼슘 이온의 조절 기능의 장애도 노화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알쯔하이머 질환은 유전성 질환이다. 염색체 21번의 APP 유전자 돌연변이와 염색체 14번, 1번의 presenilin 1, 2 유전자 돌연변이가 특히 조기발병 알쯔하이머 질환과 관련이 있다. 현재 알쯔하이머 질환의 병인에 대해 cholinergic theory, β-amyloid protein theory, excitotoxicity theory 등 여러 가설이 있다. 알쯔하이머 질환의 신경전달계 장애로 가장 일관성 있게 보고된 것은 역시 콜린계 장애이다. 특히 choline acetyltransferase의 활성도 감소는 이 질환의 인지기능 저하소견과 상관성이 있다. 기타 신경전달계의 장애도 발견되나, 알쯔하이머 병인에의 기여 여부는 확실치 않다. 신경?타이드들 중에는 somatostatin의 감소 소견이 일관성 있게 보고되고 있다. 수용체에 대한 연구들은 아직 미미하다. 콜린계 수용체중 muscarinic receptor type 2(M2) 수용체의 저하가 선택적으로 일어나며, 전체적으로 nicotinic receptor의 수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기타 카테콜아민, 세로토닌, GABA 수용체 등은 큰 변화가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향후 NMDA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주목된다. 알쯔하이머 질환에 있어서의 생물학적 지표로서 뇌척수액이나 말초혈액에서 보고되고 있는 것에는 특별한 게 없다. 단 뇌척수액내 somatostatin이 감소되어 있다는 것이 일관성 있게 보고되고 있고, 또한 혈소판 MAO 활성도가 증가된다. 하지만 MAO 활성도 증가는 정상 노화에서도 관찰되는 소견이다. 향후 뇌영상기법을 통한 연구들이 알쯔하이머 질환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현재 PET 검사로 발견되는 두정엽의 대사감소는 이 질환의 초기 생물학적 지표로 상정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의 최종 목적은 환자들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있다. 현재로서는 콜린계 장애의 성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 이에 대한 약물학적 접근을 해 나가는 것이 가장 이 목적에 접근해 있다고 생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035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lzheimer quot,s disease,Aging,Neurochemistry,Signal transduction,Biological marker,알쯔하이머 질환,노화,신경화학,신호전달,생물학적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