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진설의 상징성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
ISSN | 2384-0358,2384-0366 |
ISBN |
저자(한글) | 이철영,김은지,박상미,정겨운,김정래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조선시대의 예학의 기준을 제공하였던 '주자가례(朱子家禮)'는 현재까지도 조상과 소통하는 제례에서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제례의 진설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하였으며 형식적인 의례절차로 이해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제례진설의 상징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당시의 사상과 학문적 기초를 제공한 고대 천문관과 우주 질서에 대한 이해의 관점에서 음양오행론을 통해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나타난 진설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례진설이 당시 사람들이 이해한 우주관과 세상에 대한 질서 논리인 음양오행의 상징구조에 의해 진설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제례진설에 담긴 의미를 파악함으로서 문화의 지속과 변화의 과정 속에서 제례 문화의 원형을 이해하고 전승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163930568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제례준비,음양론,천문학,제례진설,조상숭배,Ancestral ritual arrangements,Yin-yang,astronomy,symbolism of table arrangement,ancestral worshi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