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天符經의 '一'에 관한 우주론적 고찰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仙道文化= Journal of Korean Sundo culture
ISSN 1975-581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천부경』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새로운 해석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천부경』 해석에 있어서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생성론'과 '구조론'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분석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천부경』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一'의 개념과 성격을 우주론적 입장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一始無始'를 통해 우주만물이 어디에서 시작하여 어떤 순서로 발생하였는가 하는 점을 중시하는 생성론적 견해만으로는 우주만물의 참다운 본질을 파악할 수 없고, 시작도 끝도 없는 우주만물은 스스로 존재하고 일정한 조화와 질서를 통하여 항상의 차원에서 순환한다고 보는 구조론적 견해와 함께 볼 때 우주만물의 참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一析三極'을 통하여 우주만물의 근원적 존재원리인 '一'이 현상계의 모습으로 나타날 때 '三極'인 '天ㆍ地ㆍ人'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체용론과 삼원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여기서도 우주만물의 근원적 존재원리인 '一'로부터 현상계의 상징적인 모습인 '天ㆍ地ㆍ人'이 순서에 따라 발생한다는 생성론적 입장뿐만 아니라, 우주만물의 구성 속에 근원적 존재원리인 '一'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는 구조론적 입장을 함께 설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천부경」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도 '一'은 우주만물의 생성과 구성 및 변화를 주관하는 근원적 존재원리이며 나아가 현상계를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요소로 나타나 다양한 모습으로 작용함을 밝혀 보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246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천부경,일,우주론,구조론,생성론,Cheon Bu Kyung,Il,cosmology,cosmogony,cosm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