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Jing-wei,SONG, Wen-tao,JIANG, Li,CHEN, Song-lin,LI, Heng-de |
초록 |
박대(Cynoglossus semilaevis) 성체의 암수 차이는 비교적 크다. 성제어(sex control)는 박대의 양식 효익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성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은 박대의 성결정 관련 유전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것이다. 박대의 유전적 성결정 방식은 ZW형이며, 해당 성결정 방식에는 다중인자 선량 효과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성결정은 성염색체와 연관이 있다. 상염색체 또한 성별 조절에 참여하며, 유전적 성(genetic sex)은 성염색체와 상염색체의 협력작용에 의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양적 형질 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i, QTL)의 상호작용 관점으로부터, 박대의 유전적 성결정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성별을 2차 형질로 하고, 박대의 고밀도 미소부수체에 관한 유전적 연관 지도,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모든 마커 간의 2차 조합이 성별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스캐닝하였다. 연구 결과, 총 5개 마커 조합이 P 연구 결과는 해당 마커 부근의 유전자가 박대의 성결정에 참여한다는 것, 즉 상염색체가 성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박대의 성결정과 성제어를 한층 더 연구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