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 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avian Pasteurella multocida) 외막 단백질 H(outer membrane protein H, OmpH)의 발병작용을 연구한다. 기법 : 대장균 발현 시스템에서 강독성 C48-3 균주의 재조합 단백질 OmpH를 발현시킨다.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N 말단에 6개 히스티딘 태그를 함유한 재조합 OmpH를 정제한다. 토끼에 OmpH를 피하주사하여 OmpH 저항성 항체를 얻는다. 생물학적 기능 실험을 통해 야생 균주 C48-3, 돌연변이 균주 ΔompH, 상호보완 균주 C48-3C의 부착 능력, 혈청 저항성, 항식균작용을 비교한다. 결과 :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에 비해 돌연변이 균주의 CEF 세포 부착 능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OmpH 저항성 항체는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의 CEF 세포 부착 능력을 유의하게 억제하지만 돌연변이 균주의 부착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닭 혈청에서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의 생존율은 돌연변이 균주에 비해 뚜렷이 높았다. 그러나 활성화 되지 않은 닭 혈청은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 돌연변이 균주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쥐 복강 대식세포의 돌연변이 균주 식균 능력은 야생균주, 상호보완 균주에 비해 뚜렷이 높았다. OmpH 저항성 항체는 대식세포의 야생균주, 상호보완 균주의 식균 능력을 증강하지만 대식세포의 돌연변이 균주 식균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OmpH는 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의 발병인자이다. OmpH는 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의 숙주 감염 및 발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