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ole of Outer Membrane Protein H in the Pathogenesis of Avian Pasteurella multicida Strain C48-3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ISSN 1671-81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EI, Dong,DUAN, Shi-xiong,YAN, F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 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avian Pasteurella multocida) 외막 단백질 H(outer membrane protein H, OmpH)의 발병작용을 연구한다. 기법 : 대장균 발현 시스템에서 강독성 C48-3 균주의 재조합 단백질 OmpH를 발현시킨다.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N 말단에 6개 히스티딘 태그를 함유한 재조합 OmpH를 정제한다. 토끼에 OmpH를 피하주사하여 OmpH 저항성 항체를 얻는다. 생물학적 기능 실험을 통해 야생 균주 C48-3, 돌연변이 균주 ΔompH, 상호보완 균주 C48-3C의 부착 능력, 혈청 저항성, 항식균작용을 비교한다. 결과 :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에 비해 돌연변이 균주의 CEF 세포 부착 능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OmpH 저항성 항체는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의 CEF 세포 부착 능력을 유의하게 억제하지만 돌연변이 균주의 부착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닭 혈청에서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의 생존율은 돌연변이 균주에 비해 뚜렷이 높았다. 그러나 활성화 되지 않은 닭 혈청은 야생 균주, 상호보완 균주, 돌연변이 균주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쥐 복강 대식세포의 돌연변이 균주 식균 능력은 야생균주, 상호보완 균주에 비해 뚜렷이 높았다. OmpH 저항성 항체는 대식세포의 야생균주, 상호보완 균주의 식균 능력을 증강하지만 대식세포의 돌연변이 균주 식균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OmpH는 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의 발병인자이다. OmpH는 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의 숙주 감염 및 발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67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vian Pasteurella multocida,OmpH,粘附,Adhesion serum resistance,Antiphagocytosis,가금 파스튜렐라 말토시다,OmpH,접착,혈청 저항성,항식균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