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hibitory Effects of 6-Gingerol on Cytochrome P450 in Human Liver Microsom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臨床藥理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ISSN 1225-546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oo, Soo-Yeon,Lim, Young-Ch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배경: 일상 식이 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생강(ginger)의 한 성분인 6-gingerol은 질병 치료 과정 중에 사용하는 약물과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인체 간 대사 효소인 시토크롬 P450 활성도에 대한 6-gingerol의 효과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간 미세소체에서 6-gingerol이 시토크롬 P450대사 효소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체 간 미세소체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6-gingerol과 각각의 CYP450에 특이적인 기질을 함께 배양하였으며, 각각의 대사물을 HPLC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CYP효소에 의해 촉매 되는 반응에는 CYP1A2에 의한 phenacetin O-deethylation, CYP2C9에 의한 tolbutamide 4-hydroxyltion, CYP2C19에 의한 S-mephenytoin 4'-hydroxylation, CYP2D6에 의한 dextromethorphan O-demethylation, CYP2E1에 의한 chlorzoxazone 6-hydroxylation, 그리고 CYP3A4에 의한 midazolam 1-hydroxylation이었다. 결과: 6-gingerol은 $IC_{50}$ 가 $100{ mu}M$ 을 상회할 정도로 CYP2C9, CYP2D6, CYP2E1 그리고 CYP3A4의 활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6-gingerol은 CYP 2C19과 CYP 1A2에 대하여 Ki 수치가 각각 $13{ mu}M$ 과 $29{ mu}M$ 이 될 정도로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CYP1A2에 대하여 6-gingerol은 상경적인 형태의 억제를 초래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6-gingerol이 CYP1A2과 CYP2C19의 활성도를 잠재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1222413101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6-gingerol,Cytochrome P450,Inhibition,Human liver micros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