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Role of Microtubule in the Regulation of Endochondral Bone Formation in the Developing Mouse Cranial Bas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ISSN 1225-150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yuk-Jae Kwon,Jong-Min Lee,Kyoung-Won Cho,Jeong-Oh Shin,Sung-Won Cho,Min-Jung Lee,Han-Sung Ju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머리뼈바닥의 발생 중에 일어나는 연골속뼈발생은 다양한 세포현상과 연골바탕질 대사가 관여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연골세포에서는 증식, 형태변화, 증식 종료, 비대, 세포자멸사가 일어나고, 연골세포 주변으로는 연골바탕질이 활발하게 생성되었다가 제거되면서 뼈조직에 의해서 대체됨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미세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머리뼈바닥 발생 중 연골속뼈발생 동안의 미세관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세관의 구성 단백질인 튜불린에 결합하는 약물 노코다졸을 사용하여 머리뼈바닥 조직을 기관배양 함으로써 미세관과 머리뼈바닥 발생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된 조직에서 일어나는 형태학적, 분자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 세포 개수 계산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나비뒤통수결합 부위 내의 미세관에 가해진 변화에 의해서 Ki67, 뼈발생표지자 BSP, BMP4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비대층 구역에서는 연골세포의 비대과정이 억제되었고, 뼈발생중심에서는 연골조직의 제거 및 뼈조직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는 미세관이 연골속뼈발생의 다양한 과정에 관여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머리뼈 성장 및 머리뼈 바닥 기형과 관련된 질병을 이해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4795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ranial base,Endochondral bone formation,Sphenooccipital synchondrosis,Microtubule,Nocodazole,Bone morphogenetic protein 4,Organ culture,머리뼈바닥,연골속뼈발생,나비뒤통수결합,미세관,노코다졸,BMP4,조직배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