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세계한국어문학 =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ISSN | 2092-4895,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9-01-01 |
초록 | 화법은 6차 교육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된 국어과 과목이나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국어과 과목의 교육 목표를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있다고 볼 때 학습자들이 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과목이 화법이다. 그러나 화법의 이론에 대한 연구나 새로운 이론의 출현이 극히 드문 것이 국어 교육학에서의 화법의 현실이며 이로 인해 화법 교육에 대한 무용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화법 교육의 이론을 정확히 이해하고 교육을 하도록 하는 한편 화법 교육에서 국어 지식 즉 문법 영역과의 통합된 교육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두 영역의 공통분모라고 볼 수 있는 정중 어법의 이론 연구를 통해서 화법 영역과 문법 영역의 통합을 꾀한 국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화법 교육에서 있어 한계로 지적되는 외국 이론의 차용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1장에서는 화법 교육에서의 정중 어법과 그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를 면밀히 고찰한 뒤, 연구의 대상을 고등학교 심화 선택 과목인 화법으로 제한하여 위 연구의 교육적 필요성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정중 어법의 이론을 살피기 위해 용어의 정의를 정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핀 뒤, 언어학에서의 정중 어법 이론과 교육 과정에서의 정중 어법 이론을 비교해 본다. 3장에서는 연구에서 살피고자 하는 대상인 화법 교육과정과 화법 교과서의 분석 그리고 교사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정중 어법의 이론이 화법 교육에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4장에서는 이제까지 문제점을 토대로 정중 어법의 이론에서 제시된 대화의 격률과 정중 어법을 실현시키는 언어적 장치를 학습하는 방향으로 정중 어법 교육 내용을 설계함으로서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해 본다. 위의 논의들은 정중 어법의 교육을 통해서 화법 교육의 문제점을 밝히고 그 해결점을 어느 정도 제시함으로써 화법 교육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을 마련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4081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정중 어법,화법,화법 교육,대화의 격률,대화,의사소통,Speech,Korean language education,Politeness Principle,Conserv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