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Hao,GAO, You-li,CHEN, Yong,TANG, Jian-liang,JIN, Chen-zhong,HU, Yi-hong |
초록 |
'선량유(Shenliangyou) 5814' 논벼 종자를 실험 재료로 하여, 2.5% 이미다클로프리드-프로클로라즈(imidacloprid-prochloraz),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 Cruiser, Celest를 각각 종자에 씌웠으며, 논벼 유묘 항산화효소 활성, MDA 함량, GSH 함량,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 형광 파라미터를 측정하였고, 종자 피복제(seed-coating agents)가 유묘에 대한 스트레스 메커니즘을 탐구하여 종자 피복제의 안전적이고 효과적인 응용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탐구 결과, (1) 종자 피복제는 논벼 유묘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14일 파종한 후, 2.5% 이미다클로프리드-프로클로라즈와 Cruiser 처리 그룹 엽편의 SOD 활성은 높아졌고,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 처리 그룹 엽편의 POD 활성은 높아졌다. 22일 파종한 후, 2.5% 이미다클로프리드-프로클로라즈와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 처리 그룹 엽편의 CAT 활성은 높아졌다. 26일 파종한 후, Cruiser와 Celest 처리 그룹 엽편의 CAT 활성은 높아졌다. 2.5% 이미다클로프리드-프로클로라즈와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는 22일 파종한 후의 엽편 MDA 함량을 뚜렷하게 향상시켰다. 4가지 종자 피복제는 유묘 엽편의 GSH 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의 향상 효과가 가장 뚜렷하였다. (2) 4가지 종자 피복제는 엽록소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배양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엽편 내 엽록소 함량은 점차 정상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3) 4가지 종자 피복제는 논벼 엽편의 최대 광화학효율 φP o 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광흡수 성능 지수 PI ABS 값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지 않았고, 비활성 파라미터 ABS/CS M 값은 배양시간의 연장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그중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 처리 그룹의 감소가 가장 뚜렷하였다. 동시에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 처리 그룹 엽편의 열방산 DIo/CS M 값도 대조군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결과적으로 각종 피복제는 논벼 유묘 생장에 일정한 스트레스를 초래하였으나 논벼 자체 방어 시스템은 농약 스트레스 작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종자 피복제를 안전한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3% hymexazole-프로클로라즈의 스트레스는 비교적 심하여 사용효과가 비교적 낮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