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Metmyoglobin을 spin trap 5,5-dimethyl pyrroline-N-oxide (DMPO) 존재 아래 $H_2O_2$ 반응시켰을 때, 폭이 넓은 다섯 가닥의 비대칭 ESR spectrum을 얻었는데, 기대했던 DMPO/OH adduct의 흔적은 찾을 수 없었다. 또 이 metmyoglobin을 DMPO 존재 아래서 Fenton 시약과 반응시켰을 때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을 뿐 아니라, Fenton 시약과 DMPO를 반응시켜 DMPO-OH adduct 생성을 ESR로 확인한 뒤에 그 용액에 metmyoglobin을 첨가했을 때, 기존의 DMPO-OH signal은 완전히 사라지고 위에서 얻었던 비대칭 다섯가닥 spectrum으로 대치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myoglobin 분자의 heme crevice에서 생성된 1 차 및 2 차 라디칼 adduct는 물론, 단백질 분자 표면에서 Fenton 시약에 의해 생성된 DMPO/OH까지도 heme pocket 안에 굳게 고정되는 때문인 것으로 해석했다. 한편 DMPO 대신에 3,3,5,5-tetramethyl-1-pyrroline-N-oxide (TMPO)를 사용했더니 DMPO의 경우와는 아주 다르게, 두 종류의 라디칼로 혼성된 ESR spectrum을 얻었는데. 그 중에서 폭넓은 특정 구조가 없는 signal은 TMPO가 단백질 backbone에 있는 ${ alpha}-$ 탄소 라디칼과, 그리고 선명한 세가닥 signal은 단백질의 곁가닥 라디칼과 이룩한 adduct를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런데 TMPO는 DMPO보다 메틸기를 두 개 더 가지고 있어서 보다 큰 입체적 장애를 받아 pocket에는 들어갈 수가 없고, 단백질 분자의 표면에 생성된 라디칼만을 포착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