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Calmodulin from Bovine Br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ee, Sang-Yeol,Kwon, Heun-Young,Kim, Jung-Hye,Rhee, Sue-Go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0-01-01
초록 세포내에서 칼슘이 작용하는 반응을 조절하는 calmodulin 단백질을, 소의 뇌로부터 순수 분리하여 여러 가지 생화학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칼슘의 존재하에서 분자량이 15,000으로 나타나고, 칼슘을 제거한 상태의 분자량은 21,000으로 나타남으로써, 칼슘이 calmodulin에 결합하여 단백질의 3차원적 구조에 상당한 변화를 유발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스팩트럼을 조사해본 결과 259, 265, 279 nm의 세 군데에서 최대 흡수 peak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calmodulin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중 tryptophan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하여, phenylalanine과 tyrosine의 흡광도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또한 칼슘과 calmodulin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Ins(1, 4, 5) $P_3$ -Kinase의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6{ mu}M$ calmodulin이 효소반응용액에 존재할 경우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때에 비하여 최대 7배까지의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최적 농도의 $Ca^{2+}$ /calmodulin 복합체는 기질과 반응하기에 부적합한 구조의 target 효소와 결합하여, 활동적이고 반응하기에 매우 좋은 조건의 구조를 갖는 효소로 바꾸어 줌으로써 생체내의 반응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0347551822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