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로 구성된 생체지지체 재료는 보통 조직이나 기관의 탈세포화(Decellularization)로 부터 유래되었다. 탈세포화를 거친 조직과 기관은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가장 이상적인 탈세포화 기법은 ECM의 구성 부분과 삼차원 초미세구조를 완전하게 보존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모든 탈세포화 기법은 구조를 파괴하고 구성 부분의 잠재적인 유실을 일으키게 된다. 조직에서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지는 조직, 사용하는 물리 및 화학, 그리고 효소의 시약과 관계가 있다. 이런 처리들은 ECM 지지체의 생물화학적 구성, 조직의 초미세구조, 역학적 성질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서는 숙주가 지지체 재료에 대한 반응에도 영향을 준다. ECM 지지체의 완전성과 생리활성을 유지하는 가장 우수한 탈세포 기법은 처리 과정에서 시약과 기술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탈세포기법과 다양한 기법이 생체지지체에 대한 작용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류하였고 새로 제안된 항원 제거(antigen removal strategy)를 종합적으로 서술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