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nbsp; nbsp;과거, 맛은 입과 혀로 느끼는 것만을 생각했다. 하지만, 맛에 대한 의미가 확장되고 있는 오늘날 '자연의 맛', '살아있는 맛', '참을 수 없는 맛' 등 미각에 대한 표현이 다양화 되고 있다. 맛에 대한 언어적 표현은 날로 발전하고 있지만 시각적 표현은 제품의 씨즐 또는 모델의 먹는 씨즐 연출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척은 미각 정보의 시각표현 사례연구를 통해 미각의 시각화 방법론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시각적 표현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nbsp; nbsp;본 연구를 위해 '맛'을 본질로 하는 식품브랜드에 한정하여 인쇄광고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광고에 표현된 맛을 화학적, 물리적, 심리적, 개념적 맛으로 분류한 후 표현유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미각의 시각표현 유형은 1)재료를 이용한 표현 2)내러티브적 표현 3)메타포를 이용한 표현 4)대상의 감정표현 5)대상의 심리 묘사 6)시각적 직유로 분류할 수 있었다. nbsp; nbsp;화학적인 미각은 원재료를 이용해 '체험된 맛'을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물리적 미각은 물리적 현상과 물리적 속성을 이용해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러티브적 표현에서 미각정보는 현상에 대한 단서이자 원인이 되고 메타포를 이용한 표현에서는 은유의 대상과 유사한 물리적 속성이 미각정보가 된다. 심리적인 미각은 식음 후의 맛에 대한 대상의 표정과 몸짓을 통한 표현이 가능하며, 식욕에 대한 과장된 심리 묘사는 심리적 미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끝으로 개념적인 미각은 기호와 상징을 이용한 시각적 직유와 역설적 표현에 대한 명쾌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