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ios Gum Mastic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YD9 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ISSN 1225-150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ae-Hyoun Park,Gyoo-Cheon Kim,Hyun-Ho Kwak,In-Ryoung Kim,Seung-Eun Lee,Jin Chung,Hae-Ryoun Park,Sang-Hun Shin,Soo-Hyun Choi,Chul-Hoon Kim,Chang-Ok Nam,Bong-Soo Park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8-01-01
초록 식물인 Pistiacia lentiscus L. var. Chia.는 그리이스 키오스 섬의 남부지방에서만 서식하며, Chios gum mastic (CGM)으로 알려져 있는 수지를 만들어 낸다. Pistacia lentiscus 나무의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인 CGM은 과거 수세기 동안 지중해와 중동 지역 국가들에서 음식 첨가물과 치료약으로 광범히 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본 연구는 사람구강편평상피암종세포(YD9 cells)에서 CGM의 세포독성과 성장억제 효과, 그리고 세포주기의 변형과 세포자멸사(apoptosis)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알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YD9 세포와 사람정상각화세포(HaCaT)의 생존률 측정은 MTT법을 시행하였고, YD9 세포의 성장억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lonogenic assay를 사용하였다. 세포자멸사가 유도되는 YD9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서 hoechst 염색법과 DNA 전기영동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YD9 세포에 CGM을 적용한 후, Western blot 분석, 세포면역화학염색, 공점레이저주사현미경 검경, FACScan flow cytometry, 사립체막 전위변화, proteasome 활성도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CGM으로 처리된 YD9 세포는 용량 의존적인 세포 성장억제와 세포자멸사에 의한 세포죽음을 보였고, caspase-9, caspase-3, PARP 그리고 DFF45 (ICAD)의 파괴와 분절의 생성, DNA의 조각남, 핵 응축, 사립체막전위의 감소, Bax와 Bcl-2의 분율의 변화, cytochrome c의 사립체에서의 세포질로의 유리, AIF와 DFF40 (CAD)의 핵으로의 이동과 같은 세포자멸사 증거를 보였다. Flow cytometry 분석에서는 cyclin D1, cyclin D3, Cdk2 그리고 Cdk4의 발현의 감소와 p21 WAF1/CIP1 와 p53의 발현 증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G1 세포주기 정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CGM이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들의 변형을 유도한 G1 세포주기정지와 사립체와 caspase 경로를 통한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을 명확하게 증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강력한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자멸사 유도능은 CGM이 사람구강편평세포암종의 새로운 치료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높여 준다고 생각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7263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hios gum mastic(CGM),Apoptosis,Human oral squamous carcinoma cell line,Cell cycle arrest,세포자멸사,사람구강편평상피암종세포,세포주기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