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세포독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ISSN 1976-04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조철희,유귀재,김소영,이건순,김진현,현정오,채희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9-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를 기능성 생물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개비자나무 추출물(Korean Plum-yem extract, KPE)의 항균활성,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 및 독성을 확인하였고,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KPE의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은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효모 및 사상균에 대하여 성장 저해현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그램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e가 KPE에 가장 민감하게 생육 저해현상을 보였고, 마찬가지로 그램 음성균인 Salmonella thyphimurim, Escherichia coli 순이었다. 그램 양성균이 그램 음성균에 비해 KPE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암 세포주를 이용한 KPE의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분석한 결과 80 ${ mu}g/mL$ 의 농도에서 현저한 암세포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KPE를 섭취하였을 때 유발되는 용혈율을 측정하여 KPE의 적혈구 막지질 붕괴의 유무를 조사한 결과, KPE 중 hemolysis를 일으키는 물질은 KPE의 유효성분인 HHT 외에 다른 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Ame's test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을 갖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비자나무 추출물은 항균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등 기능성을 갖는 천연물 소재로서 이를 응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9252659208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개비자나무,항균 활성,세포독성,독성평가,antimicrobial activity,cell cytotoxicity,Cephalotaxus koreana,Korean Plum-yem,toxicit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