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thermostable D-lactate dehydrogenase from Lactobacillus jensenii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ISSN 0253-26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I, Yu-meng,ZHU, Ling-feng,WANG, Li-min,YU, Bo,GUO, Hong-l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 D-젖산 탈수소 효소(D-lactate dehydrogenase)는 피루브산(pyruvate)에 촉매 작용을 하여 D-젖산(D-lactic acid)을 합성하는 핵심 효소이다. 해당 효소는 열에 견디지 못하기에 D-젖산 고온 발효 균주의 구축을 제한하였다. 본 논문은 락토바실러스 젠세니(Lactobacillus jensenii)에서 신형의 D-젖산 탈수소 효소를 복제하고 효소학 성질(Enzymic properties)을 연구하였으며 D-젖산 고온 발효 균주를 구축하고 D-젖산 생산 원가를 진일보로 낮추는 데 토대를 마련하였다. [방법] 락토바실러스 젠세니에서 D-젖산 탈수소 효소의 복제를 통하여 생체 외 발현을 진행하고 식물성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plantarum)에서 생성된 D-젖산 탈수소 효소의 최적 온도, 최적 pH, 동역학 매개변수 및 열 안정성(thermostability)과 열 불활성(Thermal inactivation)을 비교하여 락토바실러스 젠세니 D-젖산 탈수소 효소의 내열성(thermal properties)을 연구하였다. [결과] 락토바실러스 젠세니 D-젖산 탈수소 효소의 최적 온도(45°C)는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D-젖산 탈수소 효소의 최적 온도(30°C)보다 매우 높고 열 불활성의 시간과 온도는 모두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D-젖산 탈수소 효소보다 매우 높다. 또한, 촉매 효율[(catalysis efficiency), k cat /K m ]은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D-젖산 탈수소 효소의 3배 정도이다. [결론] 락토바실러스 젠세니 D-젖산 탈수소 효소는 더 좋은 내열성과 더 높은 촉매 활성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lactate dehydrogenase,Thermostable,Lactobacillus jensenii,D-젖산 탈수소 효소,내열성,락토바실러스 젠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