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수신함수 역산 및 H- kappa; 중합법을 이용한 제주도 하부의 S파 지각 속도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ISSN 1229-1064,2384-051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전태현,김기영,우남철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제주도 한라산 주위에 위치한 JJU와 JJB 관측소 하부의 S파 속도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 관측소에서 2007년 이후 기록한 $M_W$ 5.5 이상인 원격 지진자료 중 150개 수신함수를 이용하여 역산 및 H- ${ kappa}$ 중합법에 적용하였다. 모호면에서 변환된 $P_S$ 파는 JJU 관측소의 북서쪽(후방위각 $207{ sim}409^{ circ}$ , 평균 $308^{ circ}$ )과 JJB 관측소의 남동쪽(후방위각 $119{ sim}207^{ circ}$ , 평균 $163^{ circ}$ ) 방향으로 뚜렷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것은 아마도 모호면의 점이적인 속도변화나 지각 내의 속도 불균질층 때문일 수 있다. 수신함수 역산으로부터 계산된 S파 속도모델은 지각 내의 저속도층을 뚜렷이 보여주며, 30 ~ 40 km 깊이에서 점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JJB 관측소 반경 18 km 이내에서 저속도층( $v_s{ leq}3.5km/s$ )은 14 ~ 26 km에 있고, $v_s{ geq}4.3km/s$ 으로 정의한 '모호면'은 34 km 깊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쪽으로 약 10 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JJU 관측소의 반경 16 km 이내에서는 저속도층과 '모호면'이 14 ~ 24 km와 30 km에 각각 존재하여 JJB 관측소에 비해 다소 얕은 깊이에서 나타난다. JJU와 JJB 관측소에 대한 H- ${ kappa}$ 분석결과는 지각 두께가 29 km와 33 km이며, 종파/횡파 속도비( $v_p/v_s$ )가 1.64과 1.75임을 각각 나타내어 화산 정상에 가까운 곳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v_p/v_s$ 가 관찰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3176609948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파 속도,수신함수,H- lt,TEX gt,${ kappa}$ lt,/TEX gt,분석법,저속도층,모호,S-wave velocity,receiver function,H- lt,TEX gt,${ kappa}$ lt,/TEX gt,method,low velocity layer,Mo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