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 Exploration on Trace Touch Related DNA Materials from Different Substrat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命科學硏究 = Life science research
ISSN 1007-78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ONG, Hui,WANG, Jing,LI, Cai-xia,ZHANG, Tao,LIU, Ch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손 부분의 터치 생물 물증(Hand touch DNA material evidence)은 현재 케이스 중의 주요 생물 물증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전달체에서 해당 유형의 물증 DNA 검출량과 검사 효과, 최적 전처리 방법 및 서로 다른 시간에 배치한 후의 검출물질 검출량과 검사효과 변화는 아직 상세하게 보고되지 않았다. 손 부분의 터치류 생물 검출물질을 제조하여, 각각 직접 커팅법, 테이프 점착법, 투스텝 세척법과 진공흡취법으로 전처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 DNA 추출을 진행하였다. 선별한 최적 전처리 방법으로 서로 다른 시간대에 배치한 검출 물질을 처리하였으며, 일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출 물질에 대해 DNA 추출, 정량과 복합 증폭을 진행하였고 각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토론하였다. 실험 결과, 전반적으로 직접 커팅법으로 전처리를 진행한 검출물질로부터 추출한 DNA 량은 투스텝 세척법과 진공흡취법으로 전처리를 진행하여 추출한 DNA 량보다 컸으며, 이 4가지 전처리 방법으로 서로 다른 전달체의 검출 물질 사이에서 추출한 DNA 량은 차이가 있었다. 시간 추이에 따라 360일 방치한 DNA 검출량과 검사 효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서로 다른 전달체에서 DNA의 검출량과 검사효과는 차이가 있으며, 서로 다른 전달체에 대한 그 최적 전처리 방법도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검출 물질을 상온의 건조한 조건에서 1년 방치하였을 때 그 DNA는 뚜렷하게 분해하지 않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ological evidence,touch DNA,DNA typing,preprocess method,substrate,물증,터치 DNA,DNA 타이핑,전처리 방법,전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