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enetic screening of a pedigree with osteogenesis imperfecta type I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mutation in COL1A2 pathogenic gen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遺傳 = Hereditas
ISSN 0253-97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Rong,GUO, Yuan-ping,PAN, Jing-xin,GUO, Yi-b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골형성부전(Osteogenesis imperfecta, OI) I형 가계의 분자 유전학적 발생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PCR-DNA 직접 서열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어린이 환자 COL1A1과 COL1A2 모두 103개 엑손(E)에 대한 돌연변이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 환자 COL1A1 유전자에서는 병리성 돌연변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COL1A2 유전자 E19 가운데 새로운 혼합 과오돌연변이(missense mutation)(p.G316C)를 발견하였다. 이 돌연변이는 어린이 환자의 아버지로부터 유래하고 그의 어머니는 정상이며 기타 표현형이 정상인 6명 친척에게서는 이 돌연변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DHPLC(Denaturing high performance uid chromatography) 선별을 통하여 어린이 환자와 그의 아버지는 비정상적인 이중 피크(double-peak)가 있으나, 그의 어머니와 모든 정상 대조군은 정상적인 단일 피크인 것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ASA(Allele specific amplification) 선별을 통하여 어린이 환자와 그의 아버지는 391 bp의 특이하게 증폭된 밴드가 있다. 그러나 환자의 어머니와 모든 정상 대조군에서 특이하게 증폭된 밴드를 하나도 발견하지 못했다. 보존성 분석 결과를 통하여 해당 돌연변이가 있는 글리신은 진화에서 높은 보존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IFT와 PolyPhen-2 소프트웨어 예측 결과를 통하여 신규 돌연변이로 인한 결과가 '해로운 것' 및 '해로울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COL1A2 유전자 c.946G gt;T/p.G316C 신규 돌연변이는 OI-I형을 초래하는 병원성 돌연변이이고 어린이 환자 발병의 원인이다. 어린이 환자 부모는 다시 생육할 경우, 임신 초기에 생산 전 유전자 진단을 하거나 임신 전에 PGD(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을 진행하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9448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steogenesis imperfecta type I,COL1A2 gene,novel mutation,pathogenic identification,골형성불전 I형,COL1A2 유전자,신규 돌연변이,병원성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