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6-hydroxydopamine(6-OHDA)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신경독소로 도파민성 뉴런에 대한 특이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도파민 신호는 중추신경계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데, 이에 따라 파킨슨병 환자와 6-OHDA를 처리한 동물들의 신경내분비 활성에 극심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6-OHDA 주사 모델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6-OHDA에 의한 뇌 카테콜아민 합성의 차단이 성체 수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일으키는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생후 3개월의 수컷 흰쥐(SD strain)에 개체 당 $200{ mu}g$ 의 6-OHDA를 $10{ mu} ell$ 의 생리식염수에 녹여 뇌실 내 주사(icv)하였고, 2주 후에 모든 실험동물들을 희생시켰다. 시상하부-뇌하수체 호르몬 유전자들의 mRNA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total RNA를 추출하여 반-정량적 RT-PCR을 시행하였다. 카테콜아민 생합성에서 속도조절효소로 작용하는 tyrosine hydroxylase(TH)의 경우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고(대조군:6-OHDA군=1:0.72 ${ pm}$ 0.02AU, p ${ pm}$ 0.03AU, p ${ pm}$ 0.07AU, p $ alpha$ )과 LH beta subunit(LH- $ beta$ ) 그리고 FSH beta subunit(FSH- $ beta$ )의 mRNA 수준의 경우 모두 6-OHD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Cg $ alpha$ , 대조군:6-OHDA군=1:0.81 ${ pm}$ 0.02AU, p $ beta$ , 대조군:6-OHDA군=1:0.68 ${ pm}$ 0.04AU, p $ beta$ , 대조군:6-OHDA군=1:0.84 ${ pm}$ 0.05AU, p ${ pm}$ 0.04AU,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