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ahaviour of Solenopsis invicta workers to protect pupae from infection by Metarhizium anisoplia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U, Hua-long,LV, Li-hua,ZHANG, Chun-yang,HE, Yu-r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번데기에 녹강균을 감염시킨 후 불개미의 일개미가 용실에서의 행위 변화 및 건강한 일개미의 녹강균에 감염된 번데기에 대한 보호 행위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번데기에 녹강균을 감염시킨 후 일개미가 용실에서의 활동 시간은 점차 줄었으며 첫번째 날의 103.4s로부터 3일째 날의 38.5s로 줄었다. 또한 용실 활동 시간에서 새끼 돌보기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도 줄었으며 첫번째 날의 13.6%로부터 3일째 날의 3.5%로 줄었다. 번데기가 녹강균에 감염된 후, 일개미의 번데기에 대한 그루밍(grooming) 시간은 대조군의 5.3배였으며 매번 그루밍의 평균 지속 시간은 대조군의 5.2배였다. 그루밍 행위는 번데기 체표면의 분생포자수를 뚜렷하게 줄일 수 있었으며, 일개미 없음, 2마리 일개미 및 10마리 일개미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번데기 체표면의 평균 포자수는 각각 103.1, 51.6 및 31.3개였다. 일개미의 존재는 체표면 포자의 발아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20h 처리한 후, 일개미 없음, 2마리 일개미 및 10마리 일개미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번데기의 체표면 포자 발아율은 각각 95.1%, 80.4% 및 59.9%였다. 번데기의 우화율은 일개미 수의 증가에 따라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불개미 일개미의 사회적 행위를 통하여 병원성 진균이 번데기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은 개체군의 지속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보장이 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951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lenopsis invicta,entomopathogenic fungi,brood care,grooming,social behavior,불개미,병원성 진균,새끼 돌보기,그루밍,사회적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