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번데기에 녹강균을 감염시킨 후 불개미의 일개미가 용실에서의 행위 변화 및 건강한 일개미의 녹강균에 감염된 번데기에 대한 보호 행위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번데기에 녹강균을 감염시킨 후 일개미가 용실에서의 활동 시간은 점차 줄었으며 첫번째 날의 103.4s로부터 3일째 날의 38.5s로 줄었다. 또한 용실 활동 시간에서 새끼 돌보기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도 줄었으며 첫번째 날의 13.6%로부터 3일째 날의 3.5%로 줄었다. 번데기가 녹강균에 감염된 후, 일개미의 번데기에 대한 그루밍(grooming) 시간은 대조군의 5.3배였으며 매번 그루밍의 평균 지속 시간은 대조군의 5.2배였다. 그루밍 행위는 번데기 체표면의 분생포자수를 뚜렷하게 줄일 수 있었으며, 일개미 없음, 2마리 일개미 및 10마리 일개미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번데기 체표면의 평균 포자수는 각각 103.1, 51.6 및 31.3개였다. 일개미의 존재는 체표면 포자의 발아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20h 처리한 후, 일개미 없음, 2마리 일개미 및 10마리 일개미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번데기의 체표면 포자 발아율은 각각 95.1%, 80.4% 및 59.9%였다. 번데기의 우화율은 일개미 수의 증가에 따라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불개미 일개미의 사회적 행위를 통하여 병원성 진균이 번데기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은 개체군의 지속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보장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