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productive Ecology Research on Populations of a Medicinal Plant (Lycium ruthenicurn Murr.) from Xinjiang Reveals Factors Affecting Fruit Produc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科學學報 = Plant science journal
ISSN 2095-083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MIKE, A-li-tong,JIN, Xiao-fang,YE, Zhong-ming,WANG, Qing-feng,CHEN, Jin-ming,YANG, Chun-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흑구기자(Lycium ruthenicum)의 열매는 중요한 건강 보호 가치가 있어, 최근 더욱 더 주목을 받는다. 하지만 그 야생 자원은 유례없는 벌채 압력을 받고 있다. 현재 흑구기자 열매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성 생식 과정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적다. 본 논문에서는 신장 쿠얼러(Xinjiang Korla) 지역 내 6개 서로 다른 서식환경의 야생 흑구기자 개체군에 대하여 번식 생태학 관찰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각 개체군의 수분 빈도, 수분 곤충 종류, 암술머리에서 꽃가루가 떨어지는 현상, 배주 수량, 결과율, 결실률과 단일식물 열매 생산량 등 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분 빈도와 결실률, 결과율은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였다. 이는 꽃가루 매개자(pollinator)가 흑구기자 유기 생식을 제한하는 관건 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설명한다. 꽃가루 매개자의 종류가 풍부할수록 개체군의 유기 생식 생산량이 더 높았다. 이는 수분(Pollination) 곤충의 다양성과 풍부도는 흑구기자 번식 성공의 중요한 제한 요인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이외, 허징현(Hejing county) 화교 농장과 옌치현 훠라산 하곡(Huolashan valley, Yanqi County)의 흑구기자 개체군 생식 생산량과 그 수분 성공률은 서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더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모래바람에 의한 침식과 인위적인 채벌로 인한 식물체의 파괴가 이 두 개체군의 열매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야생 흑구기자 개체군의 보호 및 그 규모의 인공 재배에 대하여 중요한 참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1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ycium ruthenicum,Pollination,Seed set,Fruit set,Fruit production,Xinjiang,흑구기자,수분,결실률,결과율,열매 생산량,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