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Heterogeneous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recombinant phytase appAM8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ONG, Ma-li,WANG, Xi,DU, Jun,HUI, De-quan,LIANG, Ai-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서로 다른 숙주에서 발현하는 대장균 피타아제 돌연변이체 appAM8의 성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appAM8 유전자를 각각 대장균 BL21(DE3)과 Pichia pastoris GS115에서 발현시켰으며, 정화 후의 피타아제에 대해 효소학적 성질 분석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1) 대장균에서 발현된 appAM8(E-appAM8)과 효모에서 발현된 appAM8(P-appAM8)의 최적 pH값은 평균 4.5이고, 최적 반응온도는 65℃이며 야생형 appA의 최적 pH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appA의 최적 온도보다 5℃ 높았다. (2) SDS-PAGE 검출 결과, E-appAM8 분자량(M r ) 크기는 47×10 3 , P-appAM8은 약 53×10 3 이었다. 효모 중의 글리코실화로 인하여 수식 전기영동은 2개 밴드를 나타냈다. (3) 60-80℃ 사이에서 E-appAM8의 열안정성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70℃에서 15분 처리한 후 E-appAM8 잔여 활성은 4%밖에 되지 않았고, P-appAM8은 여전히 50%의 잔여 활성을 보류하였는데 이는 효모에서 발현된 피타아제는 글리코실화 수식을 거친 후 효소의 열안정성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설명한다. (4) E-appAM8의 K m = 0.245 mmol/L, V max =3, 3,196 U/mg, P-appAM8의 K m = 0.36 mmol/L, V max =3, 3,333 U/mg이다. 연구 결과, 글리코실화 수식은 피타아제 appAM8의 열안정성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으며, 8개 사이트의 돌연변이도 해당 피타아제의 열안정성에 일정한 작용을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53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scherichia coli phytase,glycosylation,thermostability,대장균 피타아제 돌연변이체,글리코실화,열안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