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drought on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photosystem Ⅱ in leaves of Ginkgo bilob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EI, Xiaodong,CHEN, Guoxiang,SHI, Dawei,LIU, Dan,TANG, Jiahong,LI, X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장기간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은행나무(Ginkgo biloba) 엽편의 광합성 에너지 변화를 탐구하기 위하여, 분재 물재배법을 이용하여 은행나무 묘목에 대하여 건조처리를 진행하였으며, 각각 처리 후, 0일, 20일, 30일, 40일, 50일에 형광동역학 곡선과 형광 파라미터에 대하여 측정과 JIP-test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건조의 심화에 따라, 엽편의 엽록소 함량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건조 현상은 은행나무 엽편의 광계Ⅱ(PSⅡ) 구조를 파괴하고 안정성을 약화시켰으므로, 그 형광 동역학 곡선 K상과 L상은 상승되었다. 건조 처리 40일 후, 상승은 심화되었다. PSⅡ 구조의 변화는 일련의 형광 파라미터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초기 형광 F 0 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고 최대 형광 F m 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단위 반응센터 활성을 대표하는 파라미터 ABS/RC, ET 0 /RC, TR 0 /RC는 점차 상승하였고, 단위면적에서 포획한 광에너지 TR 0 /CS 0 는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전자전달에 사용되는 단위면적의 광에너지 ET 0 /CS 0 는 후기에 감소하였다. 수용체 측면 전자 전달 활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S m , psi; 0 , phi;E 0 은 점차 감소하였고, M 0 , V J , V I 는 점차 상승하였다. 열 손실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DI 0 /RC, DI 0 /CS 0 는 건조 시간의 연장에 따라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활성 반응센터 수효 RC/CS 0 는 감소하였다. PSⅡ 광합성효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F v /F m , PI abs 는 점차 감소하였고, PSⅡ 공여체(donor) 측면 활성을 대표하는 파라미터 W K 는 건조시간의 연장에 따라 점차 상승하였으며 OEC는 점차 감소하였다. 건조 스트레스는 은행나무 엽편의 PSⅡ 반응센터 활성을 잃게 하였고, 에너지 흐름 분배 평형을 잃게 하였고, 전자 전달은 억제를 받았으며, PSⅡ 산소방출 복합체는 활성을 잃었고, PSⅡ 안정성은 약화되었으며 따라서 PSⅡ 광합성 기능을 파괴하는 등 현상을 초래하였다. 반응센터 활성 소실과 수용체 측면 전자 Q A - 의 축적은 PSⅡ 전자 전달 활성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건조 조건에서, 은행나무 PSⅡ의 PI abs 비 F v /F m 은 건조 반응에 더 예민하였으며, 이는 은행나무 엽편이 손상받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2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inkgo biloba,chlorophyll fluorescence kinetics,drought,PSⅡ,은행나무,형광 동역학,건조,광계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