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해 복수어구 및 다종어업 자원 평가모델 연구 II. 복수어구에 의한 단일 어종 자원의 이용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
ISSN | 0374-8111, |
ISBN |
저자(한글) | 서영일,장창익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1-01-01 |
초록 | 복수어구에 의한 단일 어종 자원의 평가모델은 단일 어종에 대한 복수어구의 어획노력량이 다르므로 어업별 어획노력량을 하나의 노력단위로 표준화하여, Fox (1970)에 의한 잉여생산량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최대지속적생산량, 최대경제적생산량 및 적정어획 노력량의 값을 추정하였다. 여기서는 참조기에 대한 대형기선저인 망쌍끌이어업과 근해안강망어업에 대해 적용하였고, 이 두 어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순이익을 추정하였다. 참조기에 대한 어업별 순이익의 변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어업의 경제성은 근해안강망어업이 대형기선저인망쌍끌이어업 보다 더 나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두 어업의 순이익을 같게 하기 위해서는 대형기 선저인망쌍끌이어업의 노력량을 현재보다 증가시키고 근해안강망 어업의 노력량은 낮춰야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12483939317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ultiple fishery,General linear model,Standardized fishing effort,Maximum sustainable yield,Maximum economic yie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