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황해 생태계와 수산자원의 변동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둥학술발표회
ISSN ,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장창익,이만우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2-01-01
초록 도시민속은 “도시 속에서 생성될수 있는 생활문화, 또는 현대적으로 변용된 생활문화”까지 포괄한다. 따라서 도시민속과 현대민속은 같은 층위에서 논의될 수 있다. 효택사회에서 산업화, 도시화 등의 본격적인 사회구조적 변동이 일어난 시기는 1960년~70년대이다. 이 기간동안에 한국사회는 농촌사회로부터 도시사회 및 공업 사회로의 질적변화를 일으켰다. 1960년대 전후까지만해도 전근대적인 농업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농경생활에 기반을 둔 전래의 세시풍속은 나름대로 전승되었다. 그러나 1971년부터 실시된 대규모의 농촌사업이자 '개혁운동'인 새마을운동은 민속전승현장에 이뤄진 일련의 개혁으로 주목을 끌었으며 세시풍속의 변화에도 한 몫을 했다. 1970년대와 80년대, 90년대를 거치는 동안 도시에서의 세시풍속은 차례와 성묘, 그리고 고향을 찾는 민족 대이동이라는 교통지옥 등으로 표상화되었다. 오늘날, 도시생활 속에서 세시풍속의 존재는 우선 설날과 추석과 같은 국가적인 공휴일 명절의 민족 대이동이 중요한 '뉴스거리'로 각인되어 있을 정도다. 반면 국립민속 박물관과 같은 민속관련 기관에서는 주요 세시명절이면 그 때의 세시풍속을 재현하고 있다. 가령 입춘일에는 입춘축을 써서 붙여놓고 단오날에는 그에 적절한 세시풍속을 재현하여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이 익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재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 선택해서 명절의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비록 예전의 운치는 퇴색되었지만, 아직도 설날이면 고운 한복으로 외출나온 어린이와 어른들을 볼 수 있다. 정월 대보름 무렵이면 슈퍼마켓이나 재래시장에는 부럼 깨기용 견과류와 오곡밥 재료가 등장한다. 전통사회에서처럼 질박한 분위기는 못되지만 음력날짜를 기억하지 못하는 이에게는 기억을 상기시킨다. 이밖에도 현대세시라 일컬을 수 있는 도시적인 세시풍속의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 삼짇날 무렵이면 행해지던 세시풍속은 산업사회 들어서는 '관광'이라는 이름으로 명승지 구경이 성행하게 되었는데 요즘 농촌에서도 이 무렵에 관광여행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여름철의 바캉스는 전통사회에서 유두날이나 복날 행했던 물맞이와 같은 '현상'으로 세시풍속의 도시적인 번용이라 할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 정월 대보름에 달맞이를 하는 대신 요즘은 양력 1월 1일 앙력설을 기해 해맞이를 하는 풍속도 자리잡고 있다. 해맞이는, 도시인들에게 실로 흥분되는 행사로 이는 민족 대이동처럼 현대세시, 또는 도시세시로 정착할 전망이 보인다. 근래에는 세시풍속이 관광을 겸한 문화체험의 대상이 되고 있다. 관광농원을 비롯하며 농림부의 녹색체험마을, 농촌진흥청의 농촌테마마을, 그린투어리즘 등 여러 형태의 계획들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일부 세시풍속 자원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를 찾는 이들은 대체로 도시인들이다. 도시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세시풍속의 '현장'을 체험하면서 즐기는 것인데 주 5일제 근무형태로 바뀌면서 가족단위의 문화체험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요즘 주요 화두로 등장한 것이 '웰빙'이다. 특히 도시인들 사이에서 성행한다. 웰빙 문화는 이미 전통사회에서 우리 민족의 생활양식이었다. 무공해 음식, 높고 맑은 하늘, 그래서 공해없는 마을 등이 곧 '웰빙' 그 자체였다. 문화체험은 곧 웰빙시대 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것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현대민속 또는 도시민속으로서 세시풍속이 정착하기까�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PAP&cn=NPAP080646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