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Jing-feng,ZHENG, Qi-xin,CHEN, Liao-bin,GUO, Xiao-dong,ZOU, Zhen-wei,ZHANG, Shu-wei |
초록 |
표면 광화 개질(surface mineralization modification)된 소결 뼈(sintered bone)/BMP 2 활성 펩타이드(peptide) 복합 소재, 표면 광화 개질된 소결 뼈와 단순 소결 뼈와 MC3T3-E1 세포로 구성된 조직 공학적 뼈의 체내 뼈 형성 능력을 연구하였다. 실험은 표면 광화 개질된 소결 뼈/BMP 2 활성 펩타이드 복합 소재(A군), 표면 광화 개질된 소결 뼈(B군), 단순 소결 뼈(C군) 등 3개 군으로 나뉘었다. MC3T3-E1 세포를 유도 배양한 후, 각각 3개 군의 소재를 접종하여 역상 대조 현미경(inverted phase contrast microscope)과 환경 주사 전자 현미경(environment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세포의 생장 상태를 관찰하였다. 18마리의 뉴질랜드 흰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s)를 임의로 3개 군으로 나뉜 후, 각 흰토끼를 양측 척추 기립근(sacrospinalis)의 근육 파우치 모델(muscle pouch model)로 이용하여 3개 군의 소재를 각각 흰토끼의 척추 기립근에 이식하였다. 수술 후 4, 8주에 흰토끼 3마리를 죽인 후, 조직학적 관찰과 새로 형성된 뼈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관찰 결과, MC3T3-E1 세포는 3개 군의 소재 표면에서 모두 양호한 생장을 보였다. 표면 광화 개질된 소결 뼈/BMP 2 활성 펩타이드 복합 소재는 MC3T3-E1 세포의 해당 소재 표면에서의 접착과 증식을 추진하였으며 세포의 형태를 잘 유지하였다. 수술 후 4, 8주에 조직학적 관찰을 진행한 결과, A군 소재의 새로 형성된 뼈는 B군에 비해 많았으며 B군은 C군에 비해 많았다. 수술 후 4주와 8주에 새로 형성된 뼈의 면적을 측정한 결과, A, B, C군은 각각 (19,712.524±3,782.126) μm 2 , (28,227.617±2,455.375) μm 2 , (11,648.507±1,047.221) μm 2 , (14,592.892±899.532) μm 2 , (7,986.655±903.487) μm 2 , (11,254.822±669.508) μm 2 였다. 표면 광화 개질된 소결 뼈/BMP-2 활성 펩타이드 복합 소재는 비교적 이상적인 골조직 공학적 복합 소재로서 임상 연구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