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NUTRIENT STRUCTURE AND LIMITATION ON PHYTOPLANKTON IN THE EAST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E, Ran,LIU, Yan-yun,CUI, Yong-ping,WANG, Ze-shou,YE, Xian-s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13년 동중국해 해역(120°-128°E, 25°-33°N)의 봄, 여름, 가을, 겨울철 4차례 항해 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영양염 구조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다음, 해당 구조가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을 제한한 상황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1) 동중국해에서 DIN(무기질소)/P(인), Si(규소)/DIN 및 Si/P 비율값은 각종 수괴 및 식물플랑크톤 생장 주기의 뚜렷한 영향을 받았고, 창장 강 희석수와 연안수의 합류 작용은 전체 DIN/P 비율값을 제어하였으며, 대부분 연안에서 높고 먼 바다에서 낮은 분포 특성을 보였지만 Si/DIN 비율값만 상반되는 분포 특성을 보였다. 봄철 및 여름철에 Si/P 비율값이 높은 해역은 주로 연안에 분포되었지만 가을철 및 겨울철에는 중부 해역으로부터 먼 바다로 확장되었다. (2) 연구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은 주로 N 및 P의 제한을 받았으며, 그중 126°E 서쪽의 연안 및 중부 해역은 주로 P의 제한을 받았지만 126°E 동쪽의 쿠로시오 해역은 N의 제한을 받았다. 계절적 변화에서는 여름철에 가장 뚜렷한 영양염의 제한을 받았다. (3) 2001-2010년 같은 시기 역사적 자료에 비하여, 2013년 여름철의 항해 조사 자료에서는 P의 제한을 받은 위치 수가 지난 10년보다 다소 증가하였으며, 제한 범위는 28°-32°N 및 123°E 서쪽의 창장강 및 중국 저장성 북부 연안 해역으로부터 126°E 서쪽의 동중국해 중부 및 연안 수역으로 확장되었다. N의 제한을 받는 위치는 거의 126°-127°E 동쪽의 쿠로시아 해역에 집중된 반면, 공간적 범위는 10년 전보다 증가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ast China Sea,nutrient structure,limitation,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past records,동중국해,영양염 구조,시공간적 분포,제한,역사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