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Wen,ZHANG, Bei,LI, Xiu-mei,SHEN, Ruo-wu,CONG, Bei-bei,YANG, Li-hua,SUN, Dong-jun,WANG, Jian-wei |
초록 |
목적: 면역성 간손상(immunological hepatic injury) 모델을 구축한 후, Tim-3 통로의 차단과 활성화가 Th17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기법: 쥐의 꼬리 정맥에 콘카나발린 A(ConA)를 8주 주사하여 면역성 간손상 모델을 구축한다. 무균 상태에서 비장을 수집하여 비장 림프구를 제조하고, 말초 혈액을 수집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20℃에 보관한다. 간조직을 수집하여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넣어 고정한다. 비장 림프구를 96홀 홈판에 5개 그룹으로 나누어 평균 분배한다. 실험 그룹을 차단 실험 그룹, 차단 대조 그룹, 활성화 실험 그룹, 활성화 대조 그룹, ConA 대조 그룹으로 나눈다. Tim-3의 단일 클론 항체인 Anti-Tim-3을 사용하여 Tim-3 통로를 차단하고, Tim-3의 재조합 배위체인 galectin-9를 사용하여 Tim-3 통로를 활성화한다. 37℃의 5% CO 2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상청액을 수집하여 -20℃에 보관한다. 생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혈청 내 ALT, AST, ALB 발현을 검사하고 HE 염색을 통해 간조직의 병리적 변화를 관찰한다.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간조직의 IL-17A와 ROR-γt 단백질의 발현을 검사하고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상청액 내 IL-17A와 IL-6의 발현을 검사하며 실시간 정량 PCR 방법으로 각 그룹 비장 임프구의 ROR-γt mRNA 발현을 검사한다. 결과: 대조 그룹에 비해, 모델 그룹은 HE 염색에서 염증성 세포 침윤과 간조직 손상을 뚜렷하게 나타났고 많은 유사 소엽(pseudolobules)이 발견되었으며, 면역조직화학법 검사에서 IL-17A와 ROR-γt 단백질 발현은 뚜렷하게 상승한 것을 발견하였다. 차단 대조 그룹에 비해, 차단 실험 그룹의 IL-17A와 IL-6 수준은 상승하였다(P 결론: 면역성 간손상의 발병은 Th17 세포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면역 조절된 Tim-3 통로는 Th17 세포 효과에 대한 영향을 통해 면역성 간손상의 발병 메커니즘에 관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