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TAN, Shi-yong,YI, Yong-jian,WANG, Hong-ying,ZHOU, Wan-lai,TAN, Zhi-jian,LIU, Qian,WANG, Chao-yun |
초록 |
[목적] 모시풀[(Ramie), Boehmeria nivea L. Gaud]의 뿌리 및 근권 토양(rhizosphere soil)을 연구 소재로 하여 모시풀의 식물 생장 촉진 세균(PGPB,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을 선별하고 생장 촉진 작용 메커니즘을 초보적으로 탐구하였다. [방법] 먼저 인용해(Phosphate solubilizing)와 칼륨 방출(potassium releasing)을 기본적 선별 기준으로 하여 초기 선별 균주가 실험실 조건에서 여러가지 생장 촉진 능력을 측정하는 데 대해 2차 선별을 진행한 다음 종자 발아(seed germination), 분재배 시험(pot culture experiment) 등을 통하여 균주의 모시풀에 대한 생장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형태학적 관찰(morphological observation),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과 16S rRNA 유전자 서열 상동성(Homology) 분석을 통하여 생장 촉진 균주에 대해 분류학(taxonomy) 검증을 진행하였다. [결과] 모시풀 뿌리와 근권 토양에서 분리하여 얻은 13주의 균주는 모두 인용해와 칼륨 방출 능력을 갖추고 있고, 이 중 4주의 균주(RA-2, RAM-2, RAM-5와 RAM-6)는 사이드로포어(Siderophore), IAA와 암모니아(ammonia)를 생산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종자 발아와 분재배 시험의 측정 결과, 4주의 균주는 모두 모시풀 종자의 발아와 식물체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고 이중 균주 RA-2와 RAM-5는 대조 처리 조합보다 모시풀 종자의 발아율, 어린뿌리 길이, 식물체 높이와 뿌리 건조 중량(dry weight)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분류학 검증 결과, 균주 RA-2와 RAM-5는 모두 Burkholderia속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 모시풀 근권에서 생장 촉진 능력이 있는 세균을 선별하였고, 모시풀의 전문형 식물 생장 촉진 세균(PGPB) 제제 혹은 전문형 미생물 유기 비료(organic fertilizer)의 심층 연구 개발에 자원을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