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Rong-fang,ZHANG, Lin-hai,LIN, Xiao,MOU, Xiao-jie,ZENG, Cong-sheng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중국 민장강 하구(Minjiang River estuary of East China)의 궁궁이(Cyperus malaccensis) 습지를 연구대상으로 침지형 혐기성 배양법(submerged anaerobic incubation method)을 이용하여 민장강 하구 궁궁이 습지 토양의 탈질소율(denitrification rate), 탈질소 활성(denitrification activity)과 질소 손실에 대한 기여율(contribution to the soil nitrogen loss)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궁궁이 습지에서 서로 다른 토양층의 탈질소율은 배양시간이 변화됨에 따라 일차함수 감수모델(first-order exponential decay model)(R 2 ge;0.90)과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깊이가 5~10 cm되는 토양의 탈질소율은 제일 높았다. 각 토양층의 탈질소 활성은 시간이 변화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었고, 배양 말기에 최대치에 달하였다. 그 중에서 깊이가 5~10 cm되는 토양층의 탈질소율은 제일 높았다. 각 토양층의 탈질소 효율은 시간이 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었고, 배양 말기에 최대치에 달하였는데 그 중에서 깊이가 5~10 cm되는 토양층의 탈질소 활성은 제일 높은 것으로서 93.92%에 달하였다. 질소 손실에 대한 기여율이 있는 단면의 차이적 특성(differential characteristics)과 탈질소율 및 탈질소 활성이 있는 단면의 차이적 특성은 일치한 것으로서 윗층 토양에서 아래층 토양 보다 높았다. 궁궁이 습지의 각 토양층에서 탈질소율과 탈질소 활성의 차이는 서로 다른 토양층의 물리화학적 성질(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차이와 관련되며, 또한 토양 중 점토 함량(contents of soil clay), 유기물질(organic matter), pH, NO 3 - -N함량과 정적(+) 상관관계이며, 토양 중 모래 함량(soil sand content)과 부적 상관관계(negatively correlated)인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