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산불(wild fire)은 중국 베이팡 침엽수림(boreal coniferous forest)의 한 가지 주요한 간섭(disturbance) 요인으로서 삼림 생태계의 생산력(productivity)과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또한 영양원소(nutrient)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processes)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다싱안링(Great Xing rsquo;an Mountains) 후중 자연보호지역(Huzhong Natural Reserve)의 2010년 산불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또한 해당 산불 지역 부근을 대조 샘플 지역으로 하여 산불(산불이 발생한 1년 후)이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physicochemical properties),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microbial biomass)와 유효 영양소(nutrients) (N, P, K)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 지역에 비하여 산불은 잎갈나무(Dahurian larch) 수림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인 토양 수분(soil moisture), 유기물층 두께(organic matter depth), 용존 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탄소와 질소비(C:N)를 뚜렷하게 감소시켰지만 토양 pH값은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산불은 또한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를 뚜렷하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토양 성질 지표는 산불 강도로 인한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대조 샘플 지역과 비교하면 경한 산불(light fires)과 강한 산불(heavy fires)이 발생한 후 토양 유효 질소(soil N availability)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되었지만 산불 강도로 인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산불 후 토양 유효 인(soil P availability) 함량도 대조 지역보다 뚜렷하게 높았고, 또한 산불 강도로 인한 차이는 뚜렷하였다. 그러나 토양 유효 칼륨(soil K availability) 함량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