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TAO, Zhen,CIDAN, Langjie,ZHANG, Shenghua,Xie, Chenji,LIN, Peisong,LIAO, Qiang,GAO, Quanzhou,LIU, Longhai |
초록 |
고산 초원과 온대 초원에서 수집한 374개 토양 샘플에 기반하여, 다원 단계적 회귀 분석(multivariat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모델을 통하여 토양 환경 요소가 토양 유기탄소(soil organic carbon, SOC)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고산 초원의 토양 유기탄소 함량(20.18kg C/m 2 )은 온대 초원(9.23kg C/m 2 )에 비해 높았다. 토양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요소가 고산 초원과 온대 초원의 SOC함량(10cm) 변화에 대한 기여율은 각각 87.84%, 75.00%였다. 그 중, 토양 내 총 질소 함량과 고산 초원의 SOC 함량 변화에 대한 뿌리의 기여율은 온대 초원에 비해 높았다. 토양 수분은 온대 초원의 SOC함량 변화를 제한하는 주요 요소였으며, SOC 함량 변화에 대한 토양 수분의 기여율은 33.27%였다. 고산 초원의 토양 C/N비(C/N ratio)는 온대 초원에 비해 높았으며, 칭짱고원(Tibetan Plateau) 고산 초원의 SOC 함량은 비교적 높았는데 이는 토양 미생물 활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었다. |